■ 진행 : 이세나 앵커, 나경철 앵커
■ 출연 : 정혜윤 YTN 기상재난 전문기자,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퀘어 2PM]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일주일째 이어지는 영남 지역의 산불이역대 최악의 피해를 내고 있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정혜윤 YTN 기상·재난 전문기자, 고기연 한국산불학회장과 짚어보겠습니다.어서 오십시오.
이번 산불 규모가 눈에 띄게 커지고 있죠.이미 역대 산불 수준을 넘어섰죠?
[기자]
맞습니다. 의성 산불이 안동과 청송 그리고 영덕 경북 동해안 쪽으로 확대하면서 면적이 눈에 띄게 확대된 상황입니다. 이미 3만 헥타르를 넘었고 역대 1위 수준인 2000년 동해안 산불을 넘어선 상황인데요. 2위가 2022년 경북 울진, 삼척 산불이었거든요. 대형 산불을 넘어서서 현재 의성 산불이 초대형 산불이다, 이런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준 산불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어떤 점들이 공통적인 부분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고기연]
보다시피 산불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는데요. 대형화 전에 산불이 수관화가 되면서 대류현상이 발생해서 비산화돼서 먼 거리까지 이동을 하거든요. 그게 피해규모를 일으키고 있는데. 최근 대형 산불들이 그런 추세를 가지고 있고요. 그 가운데 있는 마을, 민가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공통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관화, 비산화라는 말씀해 주셨는데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까요.
[고기연]
불은 낙엽에서 시작하겠죠. 성냥불이나 어떤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낙엽을 태우면 나무 줄기를 수관이라고 하거든요. 위에 캐노피라고 해서 나무의 머리 부분이 타면 고도가 높아지거든요. 그러니까 연소물질이 많고요. 이런 부분이 옆의 나무를 쉽게 옮기면서 면적을 넓힙니다.넓히면서 그 지역의 온도를 전체적으로 온도는 상승하면 위로 올라가거든요. 자연스럽게 올라가면서 재, 불씨들이 올라갑니다. 어느 정도 올라가서 바람 방향에 영향을 받아서 바람 방향에 의해서 밀려가는 현상입니다. 밀려가면 확산 속도가 빠르겠죠. 그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산림과학원에서 이번 의성 산불이 영덕까지 번진 그 이유에 대해서 분석한 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32715124835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